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son.tool
- shanta #bahadur
- Shamir
- Approval Test
- InheritableThreadLocal
- AWS SNS
- gitlab.rb
- AWS SQS
- WooWaCon
- argoproj
- 우아콘
- secretid
- Unseal
- 멱등성
- Vault
- CQRS
- RequestFacade
- 명령어 대체
- JSR-330
- 하만카돈 #오라 #스튜디오 #2 #harman #kardon #aura #studio #fix #repair #수리 #shutdown #bluetooth
- Session invalidate
- argocd
- auth method
- hashicorp
- KMS
- 제어역전
- 샤미르
- gitlab-ctl
- external_url
- approl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
인생은 여행

책을 보다가 Approval Test라는 새로운 용어를 발견하여 검색해 보고 알게 된 것을 정리해 본다. 우리말로 승인 테스트 정도로 불릴 Approval Test는 일반적인 Unit Test Framework가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2008년경 Llewellyn Falcon이 만든 테스트 프레임워크이다. 참고: approvaltests.com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은 입력을 받아서 처리하고 출력을 내놓는 하나의 박스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이 출력을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문자화해서 개발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정상 출력이 맞다고 하면 expected 값으로 채택하여 앞으로 수행하게되는 테스트의 기준 값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승인(appr..

자바의 열거형 자료구조인 enum 은 Java5 부터 지원되었다. enum의 장점이 여러 가지 있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런타임에 해야할 일들 중 상당 부분을 컴파일러에게 대신 시킬 수 있다는 것 아닐까 한다. 무슨 말인고 하니, 어떤 상수 세트를 int 형이나 String 형으로 선언했다고 하면, 이 상수 값을 주고 받을 때 validation도 해야할 것이고 장황하게 비교 구절이 들어갈 것이며 필요하다면 값 변환도 할 것이다. 물론 enum을 사용한다고 해서 비교 로직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코드로 구현해야할 부분의 상당부분을 컴파일러가 보장해줄 수 있다. 자바같은 정적 언어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것이다. 아래는 enum을 사용하여 사칙 연산을 정의한 코드이다. public enum Cal..

황당한 오류 사례가 보고되었다. 한 사용자가 인트라넷에 접속해서 특정 업무를 수행하면 옆에 있는 다른 사용자가 로그아웃되어버린다는 것이다. 에이 설마.. 하며 개발자가 담당자와 같이 확인해보니 똑 같이 재현된다는 것이다. 제목에 스포되어 있어서 독자는 ThreadLocal이 원인이라는 것을 알아차렸겠지만, 분석 단계에서는 단서가 많지 않아 원인을 찾기가 아주 힘들었다. 단서가 될만한 사실은, 해당 업무가 웹화면을 통해 수행되기는 하지만 배치성 작업이라 비동기로 수행이 되며 수행 결과는 웹소켓을 이용하여 푸시한다는 것이다. 합리적인 의심; 다른 업무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유독 이 작업에서만 현상이 발생하는건 혹시... 1번 용의자 웹소켓! 푸시를 위해 특정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데 푸시 서버가 별도로 있어 ..

산떠 버하둘은 Shanta Bahadur 이라는 네팔어이다(힌두어에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인도어이기도 하다). 네팔에 있을 때 네팔 사람이 지어준 이름인데, 나름 의미를 두고 지어준거라 기억에 남는다. 산떠 Shanta 는 평화라는 뜻으로 여성형인 산티 Shanti 는 많이 알려져 있다. 버하둘 Bahadur 은 용맹하다는 뜻으로 힌두권에서 남자의 중간이름으로 많이 쓰였다. (요즘 세대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고...) 네팔에서 생활할 때도 역시 과묵한 편이였는데 그런 중에서도 용맹한(?) 모습을 좋게 보아주지 않았을까라고 행복회로를 돌려보았다.